Surprise Me!

[뉴있저] 갈 길 먼 장애인 고용...현장 목소리 들어보니 / YTN

2022-08-10 21 Dailymotion

'월간 뉴있저' 시간입니다. <br /> <br />8월은 '장애와 비장애'를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를 전해드리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은 장애인 고용 상황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서은수 피디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장애인이 자립하고 함께 사는 사회로 가기 위해 이 고용 문제가 중요할 텐데, 서은수 피디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일하고 있는 일터에 다녀왔다고요? <br /> <br />[PD] <br />네, 장애인구의 고용률은 34%로, 전체 고용률인 60%의 절반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이 중에서도 자폐성 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인의 고용은 특히 저조한데요. <br /> <br />올해 나온 고용개발원 자료를 보면, 지난해 15세 이상 발달장애인 중 취업한 사람은 약 6만여 명으로, 10명 중 3명 정도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어려움에도 벌써 3년째 발달장애인을 고용한 일터에 제가 직접 찾아가 그간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영상 먼저 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'기회를 주고, 시간을 가지면 서로 그냥 동료로 인식하게 될 거다.' 이 말이 참 인상 깊은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기업에서 실제로 장애인들을 고용하기는 쉽지 않은 현실이죠? <br /> <br />[PD] <br />네, 현행법상 50명 이상 근무하는 공공기관, 민간기업 등 사업체에는 장애인 고용 의무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간기업은 3.1%, 공공기관은 3.4% 이상 의무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해야 하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민간 기업의 장애인 평균 고용률은 2.89%로, 의무 고용률에 못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난 2020년 기준으로 의무고용 비율을 지키지 못해 기업이 낸 부담금은 6천900억 원이 넘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은 적지 않은 부담금을 내면서도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는 이유로, '적합한 직무가 부족하다'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는 조사 결과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그래서 지난해 말까지 장애인 고용률이 저조해, 고용노동부에서 불이행 기업으로 명단을 공표한 기업의 담당자들에게 직접 이유를 물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A 업체 :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(그런) 업계 특성상 장애인 채용에 좀 어려움이 있다.] <br /> <br />[B 업체 : 해당 직무 수행 능력을 보유하고 계신 장애인 분들을 확보하기가 쉽지가 않았고, 또 공채 방식으로 모집을 진행하다 보니까 여건에 충족되는 분들의 지원 자체가 많지 않으셔서…] <br /> <br /> <br />아무래도 기업은 직무를 정해놓고, 그에 맞는 사람을 뽑다 보니까 그런 부분에서 현실적인 어려움이 좀 있는 거군요. <br /> <br />[PD] <br />네, 장... (중략)<br /><br />YTN 서은수 (seoes010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81020303066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